😢 사건의 발단
2003년 4월 21일 오후 4시경, 한 할아버지가 울먹이며 신고 전화를 걸어왔습니다.
“제 아내가 칼에 찔린 것 같아요. 빨리 집으로 와 주세요.” 신고된 집은 수원에 위치한 16층 아파트였습니다.
신고를 받고 도착한 경찰은 엘리베이터에서부터 이상함을 느꼈습니다.

엘리베이터 안은 피투성이였고, 바닥엔 피 묻은 발자국이 가득했습니다.
벽면과 버튼에도 피가 묻어 있었던 것이죠.
이러한 상황은 범행이 엘리베이터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암시했습니다.
🩸 무참한 현장
현관에 도착하자, 할머니가 신발장 근처에 엎드려 있었고, 주변엔 피가 가득했습니다.
할머니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으며, 현장에 남겨진 혈흔은 범행이 현관에서 시작되었음을 나타냈습니다.
현관에서만 피가 발견되었고 집안 내부에는 공격의 흔적이 없었습니다.
이는 범인이 할머니가 집에 들어오는 것을 기다렸다가 문을 열어 주는 순간 공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 의심의 대상
사건 당시 할아버지는 노인정에서 할머니와 함께 시간을 보낸 후, 30분 사이에 집으로 돌아왔고 이러한 시간 차이로 인해 할아버지는 용의선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나 할머니의 자녀들, 특히 셋째 딸이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셋째 딸은 할머니와 재산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었고, 그녀가 사건 당시 용의자로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 미궁 속에서 발견된 단서
셋째 딸이 주요 용의자로 부각되었지만, 조사 결과 그녀의 알리바이와 현장 증거가 일치하지 않아 수사는 답보 상태에 빠졌습니다.
그러던 중, 14층 창틀에서 발견된 쪽지문이 사건 해결의 실마리가 되었습니다.
쪽지문의 주인은 경기도 오산시에 거주하는 30대 초반 여성으로, 이 여성이 범인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 결정적 단서
경찰은 이 여성의 집을 방문했고, 그녀의 집에서 건강식품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이 여성은 할머니의 아파트를 방문한 적이 있다고 진술했으며, 상가 전 세입자 목록에도 그녀의 이름이 올라 있었습니다.
이러한 증거들은 그녀가 사건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 범인의 자백
여성은 경찰의 추궁에 의해 범행을 자백했습니다.
그녀는 할머니의 상가에서 전 세입자였으며, 범행 후 손에 부상을 입었고, 이를 숨기기 위해 병원에 갔다고 주장했습니다. 사건의 전개와 증거들이 맞아떨어지면서, 이 여성은 결국 범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범행 동기: 사업의 실패와 우발적 충돌
범인 최씨는 사건 당시 자신이 처한 상황과 범행의 동기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최씨는 할머니의 상가에서건강식품을 팔고 있었으나 장사가 잘 되지 않아 월세가 밀렸고, 결국 상가에서 쫓겨난 경험이 있었습니다.
1년 후, 사건 당일, 최씨는 할머니가 거주하는 아파트에 물건을 팔러 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1층에서 할머니와 우연히 마주쳤다고 주장하며, 반가운 마음에 인사를 드리고 건강을 물으려 했습니다.
그러나 할머니는 여전히 물건을 팔러 다닌다고 화를 내며 자리를 떠났다고 합니다.
최씨는 할머니가 그렇게 화를 내는 것에 대해 불만을 느꼈고, 상가에서 쫓겨난 일이 떠올라 분노를 느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를 우발적인 상황으로 설명하며, 할머니가 자신에게 모욕적인 말을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후 최씨는 물건을 팔러 다니던 중 사람들이 구매하지 않자, 자신의 수첩에 적힌 할머니 집 주소를 찾아가 집까지 찾아갔습니다.
최씨는 할머니가 집까지 찾아온 것에 대해 모욕적인 발언을 했다고 주장하며, 그로 인해 감정이 격해져 할머니를 공격하게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씨는 강도 사건으로 위장하기 위해 할머니를 살해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설명에 대한 신빙성은 낮았습니다.
범행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그의 설명은 많은 이들에게 믿기 어려운 이야기로 여겨졌습니다.
재판 결과: 징역 8년에서 6년으로 감형
1심에서는 최씨에게 징역 8년이 선고되었습니다.
법원은 범행의 잔인성과 피해자의 피해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중형을 선고했습니다.
그러나 최씨는 판결에 불복하고 항소하였으며, 항소심에서는 징역 6년으로 감형되었습니다.
📝 결론
이번 사건은 불과 30분 사이에 일어난 끔찍한 범행으로, 범인이 현장을 빠져나가면서도 자신의 흔적을 남기게 된 사건이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범죄 현장에서의 세심한 증거 수집과 분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이야기에 공감이 가셨다면, 아래에 댓글 남겨주시고, 여러분의 생각을 공유해 주세요. 공감과 댓글은 제가 더 많은 이야기를 전해드리는데 큰 힘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많은 이야기를 원하신다면 제 블로그를 구독해 주세요.